"당신이 생각하는 ‘완벽한 건강’… 꿈을 좇고 있는 건 아닐까요?"



헬스장, 샐러드, 금주, 금연, 아침 운동까지 다 챙기는데… 왜 여전히 피곤할까요? 혹시 '건강 강박'에 빠진 건 아닐지, 지금부터 그 해답을 알려드릴게요.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윤방부 박사는 “건강을 너무 이상적으로만 바라보면 오히려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고 말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건강을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완전한 상태라고 정의하지만, 여기에 지적 능력과 경제적 안정까지 고려한다면 완벽한 건강을 유지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는 현실! 이제는 완벽을 쫓기보다, 나만의 방식으로 ‘웰빙(Well-being)’을 실천해보는 건 어떨까요?

건강, 완벽함보다 ‘그럭저럭 잘 사는 삶’을

윤방부 박사는 건강 강박증에 대한 경고도 덧붙입니다. 지나치게 건강만을 위한 생활, 예를 들어 극단적인 식단 조절, 과도한 운동, 모든 유해한 요소를 배제하는 삶이 오히려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는 것인데요. 결국 중요한 건, 일상의 불편함은 관리하면서도 나에게 맞는 방식으로 편안하고 지속 가능한 삶을 살아가는 것입니다.

웰빙을 위한 실천법, 이렇게 시작해보세요 ✨

1. 균형 잡힌 식사 – 단백질 섭취는 필수!

한국인은 상대적으로 육류 섭취가 적은 편입니다. 단백질은 면역력과 근육 유지에 필수이기 때문에, 나이 들수록 의도적으로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좋아요. ‘가리지 않고 골고루, 적당히’ 먹는 식습관이 중요합니다.

2. 스트레스, 없애는 것보다 ‘관리하는 법’을 익히세요

  • 표출하기: 운동하며 소리치기, 노래 부르기, 믿을 수 있는 사람에게 털어놓기 등

  • 철학적 거리 두기: ‘이 또한 지나간다’는 시각으로 스트레스 바라보기

  • 이완 요법: 눈을 감고, 코로 깊게 숨 들이쉬고 입으로 천천히 내쉬는 복식 호흡 활용

3. 마음의 만족을 찾는 습관

  • 비교하지 않기: 타인과 비교하지 않고 현재의 나에게 집중하기

  • 감사하는 마음: 일상 속 소소한 감사함을 자주 떠올려보세요

4. 건강한 이기주의 실천하기

자신을 먼저 챙기고 만족시키는 것이 결코 이기적인 것이 아닙니다. “내가 건강하고 행복해야, 다른 사람도 돌볼 수 있다”는 사실을 기억하세요.

5. 열린 마음으로 타인을 대하는 연습

내면의 방어적 감정을 내려놓고, 타인의 사랑과 긍정적인 에너지를 받아들이는 연습도 필요합니다. 관계를 풍요롭게 하는 열린 태도는 나의 정신 건강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마무리하며 🌿

‘완벽한 건강’이라는 허상보다, 지금 이 순간 내가 느끼는 작은 편안함과 균형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웰빙은 나를 억누르는 것이 아닌, 나답게 살아가기 위한 삶의 태도입니다. 지금부터 너무 조이지 말고, 나만의 속도로 ‘그럭저럭’ 잘 살아보는 건 어떨까요?




다음 이전